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5

전자기장 없이 스마트폰 충전이 가능할까? 자성의 미래 기술들 스마트폰을 무선 충전기에 올려두는 것만으로 배터리가 차는 시대, 하지만 여전히 대부분의 무선 충전은 전자기 유도(자기장)에 의존하고 있어요.그렇다면 전자기장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도 충전이 가능할까요? 이번 글에서는 무선 충전의 원리와 함께, 자성 기반의 차세대 에너지 전송 기술에 대해 알아봅니다.현재의 무선 충전 원리: 자기 유도무선 충전은 대부분 전자기 유도 원리를 활용합니다. 충전기 내부의 코일에서 자기장을 만들고, 스마트폰의 수신 코일이 이 자기장을 받아 전류로 전환해 충전하는 방식이죠.가까운 거리에서만 작동 (수 cm)코일 간 정렬이 중요에너지 손실 존재전자기장 없이 충전? 새로운 가능성들최근에는 전통적인 자기 유도 방식 외에도, 전자기장에 의존하지 않는 새로운 충전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습니다.1.. 2025. 8. 16.
자외선 차단제는 어떻게 피부를 보호할까? 빛과 화학의 과학 자외선 차단제는 어떻게 피부를 보호할까? 빛과 화학의 과학햇볕이 강한 날이면 빠지지 않는 필수템, 바로 자외선 차단제(Sunscreen)죠. 하지만 이 하얀 크림이 어떻게 피부를 태양으로부터 지켜주는 걸까요? 단순히 '덮어주는' 기능만 있을까요?이번 글에서는 자외선(UV)의 종류와 위험성, 그리고 자외선 차단제가 작동하는 과학적 원리를 살펴봅니다.자외선이란 무엇인가요?자외선은 태양빛에 포함된 보이지 않는 에너지입니다. 빛의 파장에 따라 UVA, UVB, UVC 세 가지로 나뉘며, 이 중 UVA와 UVB가 지구 표면까지 도달해 우리 피부에 영향을 줍니다.UVA (장파장): 피부 깊숙이 침투해 노화 유발UVB (중파장): 피부 표면에 화상을 입히고 기미·잡티 유발자외선 차단제의 작동 원리자외선 차단제는 크게.. 2025. 8. 10.
LED 조명은 어떻게 빛을 낼까? 반도체 속 전자의 움직임 LED 조명은 어떻게 빛을 낼까? 반도체 속 전자의 움직임요즘은 형광등이나 백열등보다 LED 조명이 더 흔하게 사용되고 있죠. 작고 밝고, 전기도 적게 먹는 효율 좋은 조명! 그런데 이 LED는 전통적인 전구와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작동해요.오늘은 LED 조명이 어떻게 빛을 내는지, 그 핵심 원리인 반도체와 전자의 이동에 대해 쉽고 재미있게 알아봅니다.LED란 무엇일까?LED는 Light Emitting Diode의 약자예요. 우리말로는 '빛을 내는 다이오드'라는 뜻이죠. 다이오드(Diode)란 전류를 한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반도체 부품이고, LED는 이 다이오드에 전류가 흐를 때 빛이 발생하는 특성을 갖고 있어요.빛이 만들어지는 원리: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LED 내부에는 두 종류의 반도체가 만나는 .. 2025. 8. 10.
스마트폰 터치스크린은 어떻게 작동할까? 정전식 터치의 원리 스마트폰 터치스크린은 어떻게 작동할까? 정전식 터치의 원리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스마트폰. 손가락으로 가볍게 눌렀을 뿐인데 화면이 반응하고, 스크롤되고, 확대되기도 하죠. 이렇게 손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인식하는 기술의 핵심은 바로 ‘정전식 터치스크린’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정전식 터치가 어떤 과학 원리로 작동하는지 쉽게 설명해드릴게요.정전식 터치스크린이란?정전식 터치스크린은 ‘정전기(capacitance)’의 변화를 감지하여 손가락의 위치를 인식하는 기술입니다.화면 위에는 투명한 전극 층(ITO 필름)이 촘촘하게 깔려 있고, 이 전극은 전기를 약하게 띠고 있어요.사람의 몸도 전기를 띤 도체이기 때문에, 손가락이 화면을 터치하면 전기장의 균형이 무너지고, 그 변화가 센서에 감지됩니다.작동 순서는 이렇게 됩니다.. 2025. 8. 9.